성경이해
구약성경의 헤렘(멸절의 전쟁) 개념
shadowlands
2025. 4. 2. 08:10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나안 족속들뿐 아니라 그들의 짐승들까지 진멸하라고 명령하신 것은 "헤렘(חֵרֶם, ḥērem)"의 개념과 깊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1. 헤렘(חֵרֶם)의 의미
‘헤렘’은 히브리어로 "완전히 구별하여 바치다", "진멸하다", "파괴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주로 하나님의 심판과 관련되어 사용됩니다. 이는 인간이 임의로 행하는 파괴가 아니라,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특정한 대상이 완전히 하나님께 바쳐지는 것을 뜻합니다.
2. 가나안 족속과 헤렘
하나님께서 가나안 족속을 헤렘으로 진멸하라고 명령하신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도덕적, 영적 부패
- 가나안 족속들은 심각한 우상숭배, 아동인신제사(몰렉에게 자녀를 바침), 성적 타락(근친상간, 수간 등)을 행하였습니다(레위기 18장, 신명기 12:29-31).
- 하나님은 이러한 죄악이 이스라엘에게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나안 족속을 완전히 제거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신명기 20:16-18).
-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
- 창세기 15:16에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가득 차지 않았다"고 하시며, 심판을 미루셨습니다. 그러나 가나안 족속의 죄가 극에 달했을 때,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도구로 사용하여 심판을 집행하셨습니다(신명기 9:4-5).
3. 짐승까지 진멸한 이유
- 우상숭배와 관련됨
- 가나안 족속들은 짐승을 이용한 제의적 성행위, 우상숭배와 관련된 의식을 행하였고, 심지어 짐승과의 교합(수간)도 있었습니다(레위기 18:23-25).
- 따라서 짐승들까지도 가나안의 죄악에 오염된 존재로 간주되어 제거되어야 했습니다.
- 정결과 구별
-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가나안의 영향을 받지 않고 거룩한 백성으로 살아가길 원하셨습니다(레위기 20:26).
- 남아 있는 짐승들은 가나안 족속의 문화와 경제적 잔재로 남을 수 있었기에,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하나님께 온전히 바쳐야 했습니다(여호수아 6:17-21).
4. 헤렘과 신약의 관점
구약의 헤렘 개념은 신약에서 영적 의미로 확장됩니다.
- 신약에서는 더 이상 물리적 전쟁과 진멸이 아니라, 죄와의 영적 전쟁이 강조됩니다(에베소서 6:12).
-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방식이 완성되었으며, 모든 민족이 복음을 통해 구원의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요한복음 3:16, 마태복음 28:19-20).
5. 결론
헤렘은 단순한 몰살 명령이 아니라,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과 이스라엘을 거룩하게 보존하시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또한, 신약에서는 죄와 우상숭배를 완전히 제거하는 영적인 원리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