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생활/신앙의 용어
신앙의 용어, "의"
shadowlands
2025. 4. 24. 08:16
신약성경에서 "의"라는 단어는 매우 중요한 신학적 개념입니다. 헬라어로는 “디카이오수네” (δικαιοσύνη)로 표현되며, 이는 “의로움, 공의, 올바름, 정당함” 등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복음, 구원, 믿음, 행위, 하나님의 성품 등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신약의 핵심 주제를 형성합니다.
1. 의의 일반적 의미
- 헬라어 δικαιοσύνη (dikaiosynē)는 고전 그리스어에서도 "정의", "공정함", "도덕적 올바름"을 뜻합니다.
- 신약에서는 윤리적 의미도 있지만, 보다 관계적 의미와 법정적(법률적) 의미가 강조됩니다. 즉,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에 있는 상태, 하나님이 의롭다 하시는 선언, 또는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기준에 부합하는 상태입니다.
2. “의”와 관련된 신약의 핵심 개념들
① 하나님의 의 (The righteousness of God)
- 바울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예: 롬 1:17).
- 하나님 자신의 속성으로서의 의 — 즉, 하나님은 언제나 공의롭고 거룩하신 분임.
- 동시에, 하나님이 인간에게 은혜로 주시는 선물로서의 의 — 즉, 하나님 앞에서 올바르게 여겨지는 신분을 말합니다.
- 바울에게 있어 “하나님의 의”는 단순한 기준이 아니라 복음 안에서 계시되고 믿음으로 받는 것입니다.
롬 1:17: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②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Justification by Faith)
- 칭의(Justification)의 중심 개념입니다.
- 인간은 율법의 행위로는 의로워질 수 없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의롭게 된다고 선언됩니다.
롬 3:22: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 여기서 “의”는 인간이 하나님의 기준에 도달해서 얻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은혜로 전가해주시는 것입니다. 즉, 그리스도의 의가 믿는 자에게 전가(imputation)되어 의롭다 하심을 받습니다.
③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얻는 의
- 유대인은 율법을 지킴으로 의롭다 여김을 받으려 했지만, 바울은 그것이 불가능하며 오직 믿음을 강조합니다.
- 바울은 아브라함의 예를 들며 (롬 4장) “믿음으로 의로 여겨졌다”고 설명합니다.
3. 의의 전가와 변화
① 법정적 의 (Forensic righteousness)
- 하나님께서 죄인인 인간을 의롭다고 선포하시는 법적 선언입니다.
- 이는 인간 안의 도덕적 변화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신분의 변화를 뜻합니다.
② 실제적 의 (Ethical righteousness)
- 성령 안에서 새롭게 살아가는 삶 속에서 나타나는 실천적 의로움입니다.
- 칭의 이후 성화의 과정에서 나타납니다.
- 예: 마 5:6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4. 예수 그리스도와 의
- 예수는 완전한 의를 이루신 분입니다.
- 믿는 자는 그의 의를 전가받고, 그리스도 안에서 의로운 자로 여김을 받습니다.
- 고후 5:21: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이를 우리를 대신하여 죄로 삼으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라.”
5. 의와 관련된 다른 표현들
표현 의미
칭의 (Justification) | 하나님께서 죄인을 의롭다 하시는 선언 |
성화 (Sanctification) | 의롭게 된 자가 실제로 거룩해져가는 과정 |
의의 열매 | 성령 안에서 나타나는 의로운 삶의 모습 |
의의 옷 | 그리스도의 의로 덧입은 상태 (계 19:8) |
6. 결론
신약에서 “의”는 단순한 윤리적 개념이 아니라 구원의 핵심이며, 하나님의 성품,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복음의 능력, 믿는 자의 신분 변화와 밀접히 연결된 신학적 핵심 개념입니다. 바울은 이 의를 “믿음으로 받는 선물”로 강조하며, 이는 개신교 종교개혁의 중심 교리인 “이신칭의”(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됨)의 토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