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

쿰란 공동체의 나훔서 해석

shadowlands 2025. 4. 8. 15:09

쿰란 공동체(Qumran Community), 곧 에세네파(Essenes)로 알려진 이들은 사해문서(Dead Sea Scrolls)를 통해 그들의 신학과 성경 해석 방식을 엿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해문서에는 히브리 성경의 사본뿐 아니라, 그 본문에 대한 해석서들(페솨림, pesharim)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쿰란에서 발견된 나훔서

나훔서 자체의 사본은 사해문서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4Q169 (Pesher Nahum) 으로 알려진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나훔서를 본문 삼아 해석을 덧붙인 페셰르(pesher)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쿰란 공동체의 시대적 정황 속에서 이 본문을 재해석한 예시입니다.


2. 페셰르 나훔 (4Q169)의 해석 방식

①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의 적용

쿰란 공동체는 나훔서를 단순히 앗수르의 멸망에 관한 예언으로 보지 않고, 자신들의 시대와 관련된 인물과 사건에 적용하였습니다.

  • "앗수르"는 종종 당대의 악한 권세, 특히 로마 제국이나 부패한 예루살렘 지도층, 또는 하스몬 왕조(특히 알렉산더 얀네우스) 등으로 해석되었습니다.
  • 예를 들어, 4Q169에서는 나훔 1장 3절과 관련해 "거짓된 목자"를 언급하며 이를 당대의 제사장 계급 혹은 하스몬 왕조 왕들에 대한 비판으로 연결합니다.

② 의인과 악인의 분리

쿰란 공동체는 자신들을 “의의 자녀”로 여기며, 타락한 유대 사회와 성전 체제를 "악한 자들", "멸망 받을 무리"로 여겼습니다. 따라서 나훔서에 등장하는 심판과 멸망의 예언은 그들에게 있어 자신을 핍박하는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정당한 심판으로 해석되었습니다.

③ 종말론적 시각

나훔서의 해석은 단순한 역사적 비판을 넘어서 하나님의 종말론적 개입공의의 회복을 기다리는 종말론적 기대를 반영합니다. 쿰란 공동체는 하나님의 심판이 가까이 왔으며, "의로운 자들"이 구원받고 악한 자들이 멸망할 것이라는 확신 속에서 이 본문을 이해했습니다.


3. 결론

쿰란 공동체는 나훔서를 다음과 같이 해석했습니다:

  • 단순한 고대 앗수르의 멸망이 아닌 현재의 악한 권세(로마, 하스몬 왕조 등)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예언으로 봄.
  • 자신들을 **의로운 남은 자(remnant)**로 인식하며, 하나님의 구원의 대상이라 여김.
  • 종말론적 기대 속에서 하나님의 개입과 공의의 회복을 강조.

그럼 이제 4Q169, 즉 페셰르 나훔(Pesher Nahum)의 실제 구절 중 일부와 그에 대한 번역 및 간단한 주석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이 문서는 히브리어 본문인 나훔서를 인용하고, 그 뒤에 해석을 덧붙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중요한 구절 두세 개를 중심으로 소개하겠습니다.


📜 1. 페셰르 나훔 3:1에 대한 해석

📖 나훔서 3:1 (인용된 본문)

“피의 성읍이여, 화 있을진저!”

📘 4Q169 해석

이 말씀은 예루살렘과 거기에 거주하는 거짓된 제사장들에 대한 것이다.
그들은 율법을 왜곡하고 부정한 부를 추구하며 백성을 속인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 위에 심판을 내릴 것이며, 그들은 망할 것이다.

💡 해설

이 구절에서 “피의 성읍”은 고대 문맥에서는 니느웨를 가리키지만, 쿰란 공동체는 그것을 예루살렘부패한 종교 지도자들로 해석했습니다. 자신들은 타락한 제사장 제도에서 벗어난 참된 공동체라고 본 것이죠.


📜 2. 나훔서 1:3에 대한 해석

📖 나훔서 1:3 (인용된 본문)

“여호와는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권능이 크시며, 벌 받을 자를 결코 내버려두지 아니하시느니라.”

📘 4Q169 해석

이 말씀은 마지막 날에 의인들을 위해 보복하실 하나님에 대한 것이다.
[해설자는 말하길] 그분은 교만한 자들과 거짓된 해석자들을 심판하시며,
의로운 자들을 구원하실 것이다. 이 말씀은 ‘거만한 제사장’에 대해 예언한 것이다.

💡 해설

여기서도 “거만한 제사장”은 구체적으로는 하스몬 왕조의 제사장-왕들, 특히 알렉산더 얀네우스로 보는 해석이 많습니다. 당시 그는 제사장직을 가지면서 정치적으로도 강력했지만, 쿰란 공동체는 그를 하나님께 반역한 자로 규정했어요.


📜 3. 정치적 해석: “사자들”에 대한 적용

어떤 본문에서는 “사자들”이 등장하는데, 쿰란 해석자는 이를 당대의 정치적 인물, 특히 로마나 하스몬 왕조의 군사적 지도자들로 연결합니다.

📘 해석 예시:

“그 사자들은... 폭력과 약탈로 백성을 괴롭히고, 성읍을 피로 물들였다.
하나님은 그들을 칼로 심판하실 것이다.”


✍️ 정리하자면...

  • 나훔서의 본래 문맥은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에 대한 심판 예언이지만,
  • 쿰란 공동체는 이를 당대 유대의 타락한 정치·종교 권력에 적용했습니다.
  • 이는 단순한 신학적 해석이 아니라, 공동체의 정체성과 종말 신앙, 분리주의적 세계관을 반영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