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역사/신앙인물

C. S. 루이스(C. S. Lewis)의 회심(conversion) 과정

shadowlands 2025. 4. 18. 07:54

C. S. 루이스(C. S. Lewis)의 회심(conversion)은 단번에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된 지성적·정서적·영적 여정이었습니다. 그는 무신론자였던 청년 시절을 지나 결국 기독교인이 되었으며, 이 과정은 그의 저서와 편지들, 전기 등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아래는 그의 회심 과정을 주요 단계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한 것입니다.


1. 어린 시절과 초기 신앙 경험

루이스는 1898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 그는 성공회(Anglican Church)의 전통 안에서 자랐지만, 어머니가 사망한 후 신앙에 대한 회의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십대 시절에 기독교 신앙을 점차 멀리하며 무신론자가 되었습니다.


2. 무신론자로서의 청년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하던 루이스는 철저한 무신론자로 살았습니다. 그는 당시의 유물론적 세계관, 과학적 자연주의를 신봉했으며, 고통과 악의 문제 때문에 신의 존재를 부정했습니다. 그에게 하나님은 "삶을 통제하려 드는 폭군"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문학과 철학, 특히 고전 문학과 신화를 깊이 사랑하면서, 루이스는 자신도 모르게 "신화적 진리"를 동경하게 됩니다.


3. 신화에 대한 사랑과 '기독교적 신화' 발견

루이스는 톨킨(J. R. R. Tolkien)과 휴고 다이슨(Hugo Dyson) 등과의 교제를 통해 고전 신화와 기독교 신앙 사이의 연결점을 발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기독교가 단순한 신화가 아니라 '참된 신화(True Myth)'라고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 이 결정적인 대화는 1931년 9월, 토크킨과 다이슨과의 산책 도중 이루어졌습니다.
  • 토크킨은 루이스에게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기독교는 신화와 같은 모든 것이 사실로 된 것이다."

이 말이 루이스의 마음에 깊이 박혔고, 그는 "신화가 단지 거짓이 아니라, 때때로 진리를 향한 인간의 감각을 반영한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4. 유신론자(Theist)가 되다

루이스는 먼저 유신론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1929년 여름, "내 의지와 반대로 하나님을 받아들였다"고 고백합니다. 자서전『예기치 못한 기쁨(Surprised by Joy)』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나는 런던 동물원으로 가는 도중에 유신론자가 되었다. (...) 아마도 영국에서 가장 불만족스럽고 마지못해 하나님께 굴복한 개종자였을 것이다."

 

이때 루이스는 기독교인은 아니었지만, 신의 존재를 인정하게 된 것입니다.


5. 기독교로의 회심

루이스는 1931년 가을, 마침내 기독교의 복음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신뢰하는 믿음으로 들어가며 회심하게 됩니다. 그해 9월 어느 날, 오토바이를 타고 동물원에 가는 길에서 자신이 "이제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믿는다"고 확신하게 되었다고 기록합니다.

 

그는 이렇게 회상합니다:

"내가 정확히 그 순간에 어떻게 예수님을 믿게 되었는지는 모른다. 그러나 동물원으로 가는 길에서 나는 믿지 않았고, 동물원에 도착했을 때는 믿고 있었다."


6. 회심 이후의 삶

회심 이후 루이스는 활발한 기독교 변증가(apologist)로 활동하며, 대중과 지성인을 대상으로 기독교 신앙을 변호했습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 『순전한 기독교(Mere Christianity)』
  • 『고통의 문제(The Problem of Pain)』
  • 『스크루테이프의 편지(The Screwtape Letters)』
  •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s of Narnia)』

그는 회심 이후에도 의심과 질문을 피하지 않았고, 지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했습니다.


핵심 요약

         단계                       시기                                        내용

 

무신론 10대~20대 초 어머니의 죽음, 악의 문제로 신앙 거부
유신론 1929년 지성과 문학을 통해 신 존재 인정
기독교 회심 1931년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믿음
기독교 변증 1930년대 이후 지성적 변증가로서 글쓰기, 강연, 방송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