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이해

게할더스 보스(Geerhardus Vos)의 『하나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 and the Church)』

shadowlands 2025. 4. 16. 14:41

게할더스 보스(Geerhardus Vos)의『하나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 and the Church)』는 20세기 초 개혁주의 신학을 대표하는 책 중 하나로, "하나님의 나라"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구속사적 관점에서 성경 전체를 해석한 책입니다. 이 책은 원래 독일어로 1903년에 출간되었고, 후에 영어로 번역되었습니다. 보스는 이 책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 종말론, 그리고 구속의 역사에 대한 개혁주의적 통찰을 깊이 있게 설명합니다.

 

다음은 이 책의 주요 내용 요약입니다:


1. 하나님의 나라의 개념

  • 보스는 하나님의 나라를 단순히 도덕적이거나 정치적인 개념으로 보지 않고, 하나님의 통치가 실현되는 구속사적 실재로 이해합니다.
  • 하나님의 나라는 시간 안에서 진행되는 하나님의 역사적 구속 사역으로, 이 땅에서 시작되었고, 종말에 완성될 것입니다.

2.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

  • 보스는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를 서로 겹치되 동일하지 않은 실체로 봅니다.
  •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의 현재적 표현, 곧 하나님 나라의 제도적 형태입니다.
  • 하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교회보다 더 크고, 교회 바깥에서도 역사하고 활동할 수 있는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의 범위까지 포함합니다.
  • 따라서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훈련받는 장소이자, 그 나라의 대사관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3. 하나님의 나라의 시간성과 종말론

  • 보스는 하나님의 나라가 예수님의 초림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미 시작되었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은(Inaugurated Eschatology) 상태라고 설명합니다.
  • 이 개념은 후에 오스카 쿨만이나 조지 래드 등에게 영향을 주며 신약 종말론의 핵심이 됩니다.
  • 즉, 우리는 지금 “이미와 아직” 사이에 살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가 시작되었지만 그 완성은 예수님의 재림 때 일어납니다.

4. 예수님의 사역과 하나님의 나라

  • 예수님의 가르침은 단순한 윤리적 메시지가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고 실현하는 사건입니다.
  • 예수님의 기적, 사역, 죽음과 부활은 모두 하나님의 나라의 권능이 세상 가운데 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 특히 보스는 예수님의 부활을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와 구속사의 중심 사건으로 강조합니다.

5. 신자와 하나님의 나라

  • 신자는 하나님의 나라의 백성으로서, 이 땅에서 그 나라의 삶을 살아가는 자들입니다.
  • 이 삶은 단순히 내세를 위한 준비가 아니라, 현재적 삶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의 질서를 실천하고 나타내는 것입니다.
  • 동시에 이 나라는 인간의 노력으로 건설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에 의해 임하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6. 보스의 성경신학적 접근

  • 보스는 조직신학과 성경신학을 연결하며, 하나님의 나라라는 주제를 성경 전체의 통일된 구속사적 흐름 안에서 이해합니다.
  • 그는 성경 각 부분의 역사적 배경과 점진적 계시의 원리를 따라 하나님의 나라가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를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게할더스 보스의『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중심으로 성경을 관통하는 통일된 비전을 제시합니다. 교회론, 종말론, 성경신학의 근간이 되는 책으로, 이후 개혁주의 성경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고전으로 읽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