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고고학 5

마르틴 행엘(Martin Hengel)의 『십자가 처형(The Crucifixion)』

마르틴 행엘(Martin Hengel)의 『십자가 처형(The Crucifixion)』은 신약학과 고대사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저작입니다. 이 책은 단순히 예수의 죽음에 대한 신학적 설명을 넘어서, 고대 세계에서 십자가형이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를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아래에 이 책의 핵심 내용들을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책 개요원제: Crucifixion: In the Ancient World and the Folly of the Message of the Cross저자: 마르틴 행엘 (Martin Hengel)출간연도: 1977 (영어 번역본은 1977년, 독일어 원본은 1976년)주제: 십자가형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함의핵심 주장: 고대 세계에서 십자가형은 ..

성서고고학 2025.04.18

플리니의 서한에 나타난 그리스도인

영 플리니(Pliny the Younger)는 61/62년-113년 시기의 로마의 정치가이자 서간문 작가로, 트라야누스 황제(재위 98-117년) 시기의 소아시아 비티니아-팡토스 속주 총독이었다. 그의 서한 중 하나(서한집 10권 96번 편지)는 초대 교회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진다.플리니의 서한 (Pliny’s Letter to Trajan)플리니는 비티니아-팡토스 속주에서 총독으로 일하면서, 그 지역에서 활동하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해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보고하며 조언을 구했다.주요 내용그리스도인들의 증가플리니는 그리스도인들이 많아져서 이교(로마 전통 종교)의 신전이 버려지고 제물 의식이 줄어들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기독교가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재판..

성서고고학 2025.04.02

예수님과 아람어 사용

예수님 당시의 아람어는 유대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일상 언어 중 하나로, 예수님과 그 시대의 유대인들이 주로 대화에 사용하던 언어입니다. 아람어는 어떻게 유대 지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는지 이해하려면 그 역사적 배경을 살펴봐야 합니다.1. 아람어의 기원아람어는 셈어족(Semitic languages)에 속하며,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용되던 언어입니다. 원래는 아람족(Arameans)이라는 유목민들 사이에서 사용되었지만,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아람어는 점차 고대 근동 지역의 주요 언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2. 아람어가 국제어로 부상한 이유아람어가 널리 퍼진 주요 계기는 신아시리아 제국(Neo-Assyrian Empire)과 신바빌로니아 제국(Neo-Babylonian Empire)의 영향 때문입..

성서고고학 2025.04.01

바벨탑 사건의 역사적 증거

바벨탑 사건(창세기 11:1-9)이 실제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증거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이 절대적인 증거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7가지 요소를 근거로 삼아 역사적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1. 고대 지구라트(Ziggurat)의 존재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현재의 이라크)에는 바벨탑과 유사한 계단식 피라미드인 ‘지구라트’가 존재합니다. 바벨론뿐만 아니라 수메르, 아카드, 앗시리아 문명에서도 이러한 거대한 건축물들이 발견됩니다. 특히 바벨론의 "에테메낭키(ETEMENANKI)"라는 지구라트는 ‘하늘과 땅의 기초’라는 뜻을 가지며, 바벨탑의 모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2. 언어의 기원과 분산 현상언어학자들은 전 세계 언어들이 몇 개의 공통 조상 언어에서 ..

성서고고학 2025.03.30

요한복음과 고고학적 발견

요한복음에 기록된 내용을 확증해 줄 만한 고고학적 발견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7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1. 베데스다 연못 (요한복음 5:2)요한복음 5장에서 예수님이 병자를 고치신 장소로 등장하는 ‘베데스다 연못’은 오랫동안 실재 여부가 의심받았습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예루살렘 성벽 근처에서 네 개의 기둥으로 둘러싸인 두 개의 수조를 가진 연못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요한복음의 기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2. 실로암 연못 (요한복음 9:7)예수님께서 맹인의 눈을 뜨게 하신 실로암 연못은 2004년, 예루살렘에서 하수도 공사를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연못은 1세기 유대인의 전형적인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요한복음 9장에서 예수님이 맹인을 고치며 "실로암 못에 가서 씻으..

성서고고학 2025.03.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