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17

존 스토트의 책, 살아 있는 교회

존 스토트(John Stott)의 『살아 있는 교회(The Living Church)』는 오늘날의 교회가 성경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고, 참된 공동체로서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매우 실천적이고 신학적인 책입니다. 그는 오랜 목회 경험과 깊은 신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살아 있는 교회”가 갖춰야 할 핵심 요소들을 다룹니다. 📘 책의 전체 개요이 책은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장에서 교회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요소를 다루고 있습니다. 존 스토트는 복음에 뿌리내린 교회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며, 오늘날 교회가 타협하거나 놓치고 있는 본질들을 회복하도록 도전합니다.📖 주요 내용 요약성경적 설교 (Biblical Preaching)살아 있는 교회..

기독교교리 2025.04.09

장 칼뱅의 기독교 강요

장 칼뱅(Jean Calvin)의 『기독교 강요(基督敎 綱要,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는 종교개혁 시대의 가장 중요한 신학 저서 중 하나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은 단순히 교리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생활 전체에 대한 방향성과 통찰을 제공합니다.1. 『기독교 강요』의 저작 동기칼뱅은 1536년, 불과 27세의 나이에 이 책의 초판(라틴어)을 집필했습니다. 그 동기는 다음과 같습니다:1) 종교개혁 옹호칼뱅은 개신교 신앙을 오해하거나 공격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 및 국가 권력에 대응하고자 했습니다. 당시 개신교도들은 이단으로 몰려 박해를 받았기 때문에, 칼뱅은 이 책을 통해 “개혁자들이 믿는 신앙은 정통적이며 성경에 충실하다..

기독교교리 2025.04.06

청교도와 교리 교육

청교도들은 교리 교육을 신앙의 핵심으로 여겼습니다. 그들은 단순히 교리를 지식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삶과 신앙의 실천을 위한 진리의 기초로 삼았습니다. 청교도들에게 교리는 마음을 변화시키고, 경건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영적 훈련의 핵심 도구였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설교, 가정예배, 문답서(카테키즘), 학교 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교리 교육을 강조했습니다. 아래는 교리 교육을 중요하게 실천했던 대표적인 청교도 목회자 5명의 예입니다:1. 리처드 백스터 (Richard Baxter, 1615–1691)대표 저서: 『목자와 양 The Reformed Pastor』교리 교육 실천:교구 목회를 하며 가정 방문을 통한 교리 문답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했습니다.모든 교인들이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을 이해하고 ..

기독교교리 2025.04.06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개혁주의(Reformed Theology)는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시작된 신학적 전통으로, 특히 장 칼뱅(Jean Calvin)의 신학에 뿌리를 두고 있는 기독교 신학 체계입니다. 개혁주의는 성경 중심주의, 하나님의 주권, 은혜에 의한 구원, 언약신학 등을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신학이며, 전통적으로 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1. 개혁주의의 핵심 내용1) 하나님의 절대 주권하나님은 온 세상의 창조자이시며, 모든 역사와 구원을 주관하신다는 믿음.인간의 모든 일과 선택 위에 하나님의 주권이 있음.2) 오직 성경(Sola Scriptura)성경은 신앙과 생활에 있어서 최고의 권위라는 믿음.교회 전통이나 인간의 의견보다 성경이 우선.3) 은혜에 의한 구원(Sola..

기독교교리 2025.04.06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대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는 개신교(특히 장로교)의 가장 중요한 신앙고백 중 하나로, 17세기 영국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신학적 깊이와 조직적인 체계를 갖춘 이 문서는 오늘날까지도 많은 개신교 교단에서 신앙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란?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1643년부터 1649년까지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총회(Westminster Assembly)**에서 작성된 개신교 신앙고백서입니다. 이 총회는 잉글랜드 의회가 국교회를 개혁하고자 소집한 것으로, 청교도들이 주도했습니다.고백서 외에도 다음과 같은 문서들이 함께 작성되었습니다: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Shorter Catechism): 어린이 및 평신도를 위한 문..

기독교교리 2025.04.04

어린아이들의 회심

어린아이들의 회심(悔心) 경험은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여러 신앙 운동과 부흥 가운데 나타난 사례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5가지 사례입니다.1. 조나단 에드워즈 시대의 어린이 회심 (18세기 미국 대각성 운동)미국의 청교도 신학자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가 이끈 제1차 대각성 운동(1730~1750년대) 동안 어린이들이 회심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습니다. 에드워즈는 그의 저서 A Faithful Narrative of the Surprising Work of God에서 4세에서 14세 사이의 아이들이 깊은 회개와 신앙 체험을 경험한 사례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한 4세 어린이가 깊이 기도하고 성경을 이해하는 능력을 보였다고 전해집니다.2. 사무엘 모펫과 한국 ..

기독교교리 2025.04.03

즉각적 성화와 점진적 성화

즉각적 성화(Instantaneous Sanctification)와 점진적 성화(Progressive Sanctification)는 기독교 신앙에서 성화(Sanctification, 거룩해짐)의 두 가지 측면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1. 즉각적 성화 (Instantaneous Sanctification) 즉각적 성화는 신자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을 받을 때 하나님께서 즉시 베푸시는 성화의 측면을 의미합니다.특징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인해 죄의 형벌에서 해방되고, 의롭다 함을 받은 순간 동시에 거룩하게 구별됨.신자의 신분과 지위가 변화하여 하나님 앞에서 성도로 인정됨.히브리서 10:10 — “이 뜻을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단번에 드리심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거룩함을 얻었노라.”고린도전서 6:11 ..

기독교교리 2025.04.03

레슬리 뉴비긴의 책, 교회란 무엇인가?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의 교회란 무엇인가? (The Household of God)는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깊이 있게 탐구한 책입니다. 뉴비긴은 선교사이자 신학자로서, 서구와 비서구 세계를 넘나들며 교회의 역할과 의미를 고민했습니다. 이 책에서 그는 교회를 세 가지 주요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1. 교회의 세 가지 모델 뉴비긴은 기독교 역사 속에서 교회가 서로 다른 세 가지 방식으로 이해되어 왔다고 주장합니다.가톨릭 교회적 모델: 성례전 중심의 교회 이해입니다. 이 모델에서는 교회가 사도적 전통과 성례를 통해 신자들에게 은혜를 베푸는 공동체로 여겨집니다.개신교적 모델: 말씀 중심의 교회 이해입니다.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전통에서는 교회를 '말씀을 선포하는 공동체'로 강조하며, 성경의..

기독교교리 2025.04.02

폴 워셔의 책, 회심

폴 워셔(Paul Washer)의 책 회심(Conversion) 은 참된 회심의 의미와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책입니다. 워셔는 현대 기독교에서 회심이 종종 왜곡되거나 오해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성경적인 회심의 본질을 명확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책의 주요 내용 회심의 필요성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결신(altar call)이나 감정적인 경험을 회심으로 착각하지만, 참된 회심은 그 이상의 것임을 강조합니다.인간은 타락한 존재이며,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반드시 회심이 필요합니다.회심의 본질회심은 단순한 도덕적 개선이 아니라 새로운 피조물이 되는 것(고후 5:17)입니다.회심은 회개와 믿음을 포함하며, 이는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집니다.참된 회심은 죄를 미워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받아들이는..

기독교교리 2025.04.02

예언의 은사에 대한 종교개혁자들의 견해

종교개혁자들은 예언의 은사에 대해 대체로 중단주의적(Cessationist) 입장을 취했습니다. 즉, 사도 시대 이후로 예언과 같은 초자연적 은사는 중단되었으며, 오늘날 교회에서 성경이 완성된 이후로 새로운 계시나 예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개혁자들 사이에서도 예언을 해석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습니다.1.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루터는 예언의 은사를 사도 시대 이후로 중단되었다고 보았으며, 오늘날의 계시는 성경을 통해서만 온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당시 교회 내에서 직접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강하게 반대했으며, 특히 재세례파(Anabaptists)나 신비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예언적 계시를 경계했습니다.🔹 루터의 핵심 주장신약 시대의 예언과..

기독교교리 2025.04.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