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리 17

웨인 그루뎀의 예언의 은사

웨인 그루뎀(Wayne Grudem)은 복음주의 신학자이자 개혁주의적 성향을 가진 인물로, 성령론과 은사론에 있어서 비교적 온건한 은사주의(Continuationism) 입장을 취합니다. 특히 예언의 은사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개혁주의자들과는 다소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입장을 제시합니다.1. 신약의 예언과 구약의 예언의 차이그루뎀은 신약 시대의 예언이 구약의 선지자들이 한 예언과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구약에서는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완전하고 무오한 계시를 받아 기록하며, 그들의 예언은 곧 하나님의 말씀과 동일한 권위를 가졌습니다. 그러나 신약에서 나타나는 예언의 은사는 반드시 무오한 것이 아니며, 교회의 권위 있는 교리적 가르침과 동등한 수준의 계시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

기독교교리 2025.04.01

성령세례에 대한 견해 비교

성령세례에 대한 견해는 교단과 신학적 입장에 따라 다양하게 나뉩니다. 크게 보면 다음과 같은 주요 견해들이 있습니다.1. 성령세례 = 회심(중생)과 동일한 사건 (개혁주의, 전통적 장로교, 개신교 일반)성령세례는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거듭날 때(중생할 때) 자동으로 받는 것이라고 봅니다.모든 신자는 성령을 받고, 성령세례를 받은 것입니다.특별한 추가적인 체험(방언, 능력 체험 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주요 입장:장로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루터교대부분의 개혁주의 교단2. 성령세례 = 중생 이후의 두 번째 경험 (오순절 교단, 은사주의)성령세례는 중생과 별개의 사건이며, 종종 ‘능력’(능력받음, 방언, 예언 등)과 연결됩니다.신자가 구원을 받은 후 성령세례를 따로 받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보통 ..

기독교교리 2025.04.01

역사적 기독교와 자유주의 기독교의 차이

정통 기독교와 자유주의 기독교는 신앙과 교리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각 교파나 신학적 전통에서 다르게 해석되고 이해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존재합니다.1. 성경의 권위와 해석정통 기독교는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이자 절대적인 권위로 믿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로, 신앙과 삶의 모든 기준이 된다고 여깁니다. 성경의 내용은 문자적으로 믿는 경우도 많고, 성경의 교훈을 전통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따릅니다.예: 기독교의 핵심 교리인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믿고,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이 인류 구속의 핵심이라는 것을 문자 그대로 믿습니다.자유주의 기독교는 성경을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문헌으로 보고, 시대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려고 합니다. 성경의 권위는..

기독교교리 2025.03.29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

개혁주의 신학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은 핵심적인 교리로, 하나님이 만물의 주권자이시며 구원의 계획을 영원 전부터 정하셨다는 믿음에 기초합니다. 이에 대한 변호를 몇 가지 논점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성경적 근거개혁주의 신학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은 성경의 명확한 가르침에 기반합니다.✅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하나님은 역사의 주관자이시며 모든 것을 자신의 뜻대로 섭리하십니다.“여호와의 계획은 영원히 서고 그의 생각은 대대에 이르리로다” (시 33:11)“내가 말하였은즉 반드시 이루겠고 계획하였은즉 반드시 행하리라” (사 46:11)✅ 구원의 예정하나님은 창세 전에 자신의 뜻에 따라 누구를 구원할지를 정하셨습니다.“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

기독교교리 2025.03.28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본 회심 사건

서론회심(回心, conversion)은 기독교 신앙에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며, 죄인이 하나님께로 돌이켜 구원을 받는 과정이다. 개혁주의 신학은 성경적 회심을 인간의 자발적 결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건으로 이해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 교리를 따라 회심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1. 회심의 정의회심은 헬라어 '메타노이아(μετάνοια)'에서 유래하며, ‘마음과 삶의 방향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변화가 아니라 근본적인 존재의 변화이며,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 나아가는 과정이다.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회심을 크게 **소극적 측면(죄에서 돌이킴)**과 **적극적 측면(하나님을 향함)**으로 나눈다.2. ..

기독교교리 2025.03.28

구원의 서정(Ordo Salutis, Order of Salvation)이란?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에서 구원의 서정(Ordo Salutis, Order of Salvation) 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에게 구원을 적용하시는 순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개혁주의에서 제시하는 구원의 서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1. 선택(Election)구원의 시작은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에서 비롯된다. 하나님은 창세 전에 자신의 뜻과 계획에 따라 어떤 사람들을 구원하기로 선택하셨다. 이 선택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 이루어진 것이며, 인간의 행위나 공로와는 전혀 무관하다.성경 근거에베소서 1:4-5“곧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시려고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으니”..

기독교교리 2025.03.28

칼빈주의 5대 교리

칼빈주의 5대 교리는 "TULIP"이라는 약어로 요약되며, 개혁주의 신학에서 중요한 교리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 교리는 도르트 총회(1618-1619년)에서 정리되었으며, 알미니우스주의와 대비되는 개혁주의적 입장을 나타낸다. 각각의 교리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전적 타락(Total Depravity)인간은 아담의 타락 이후 본성적으로 전적으로 타락했으며,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스스로 구원을 얻을 수 없다.인간의 전적 타락은 완전한 부패(utter depravity)가 아니라 전인적 부패(total depravity)로, 즉 인간의 모든 영역(지성, 감정, 의지)이 죄의 영향을 받았다는 의미다.로마서 3:10-12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과 에베소서 2:1 ("너희의 허물과 ..

기독교교리 2025.03.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