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그리스도 10

예수께서 자신을 지칭하여 사용하신 "인자"라는 호칭의 의미

예수님께서 자신을 "인자(人子, Son of Man)"라고 자주 지칭하신 것은 신약성경 전체에서 매우 중요한 신학적, 구속사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호칭은 단순히 "사람의 아들"이라는 의미를 넘어서, 구약의 배경과 예수님의 사역, 정체성, 그리고 종말론적 권위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아래에 성경적인 맥락을 바탕으로 간단히 설명해 드릴게요.1. ‘인자’의 기본적 의미히브리어로는 ben adam (사람의 아들)이고, 헬라어 신약에서는 huios tou anthrōpou (사람의 아들)입니다.문자적으로는 “사람”, “인간”이라는 뜻이며, 인간의 연약함, 필멸성을 강조할 때 종종 쓰입니다 (시편 8:4; 욥기 25:6 등).하지만 예수님의 경우 단순한 인간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그 사용의 깊은..

예수 그리스도 2025.04.26

존 스토트의 책, 그리스도의 십자가

존 스토트(John Stott)의 책 『그리스도의 십자가(The Cross of Christ)』는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의 의미와 목적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책이지만, 십자가 사건의 완결로서 예수님의 부활이 가지는 중요성도 강조합니다. 비록 이 책이 부활 자체에 대한 변증서를 중심으로 하지 않지만, 예수님의 부활이 역사적인 사실임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논증을 몇 가지 중요한 흐름 속에서 제시합니다. 아래는 그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1. 십자가와 부활은 불가분의 관계스토트는 십자가의 의미는 부활 없이는 완성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즉, 부활이 실제 역사에서 일어나지 않았다면, 예수님의 죽음은 단지 순교나 실패로 남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활은 십자가의 진정한 의미(구속, 승리, 하나님과의 화해 등)를 ..

예수 그리스도 2025.04.09

예수는 자신을 신적 존재로 언급한 일이 있는가?

예수님께서 신약성경에서 자신을 신적 존재로 언급하신 구절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직접적으로 “나는 하나님이다”라고 말씀하시지는 않았지만, 여러 방식으로 자신의 신성을 드러내셨습니다. 주요 구절들을 살펴보겠습니다.1. 하나님과 하나 되심을 선언하신 말씀📖 요한복음 10:30"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유대인들은 이 말씀을 듣고 돌을 들어 예수님을 치려고 했습니다(요 10:31-33). 이는 그들이 예수님께서 자신을 하나님과 동일시했다고 이해했기 때문입니다.📖 요한복음 14:9"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본 것이 곧 하나님을 본 것과 같다고 선언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7:5"아버지여 창세 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

예수 그리스도 2025.04.03

구약의 메시야 예언들이 예수라는 인물에게 성취될 확률

피터 스토너(Peter Stoner)는 『Science Speaks』라는 책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구약의 메시아 예언들이 성취될 확률을 수학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예수님에 대한 수많은 예언 중에서 8가지만을 선정하여, 이것들이 한 사람에게서 성취될 확률을 계산했습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8가지 예언이 예수님을 통해 성취되었을 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베들레헴에서 태어남 (미가 5:2)선지자가 보냄을 받음 (말라기 3:1)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 (스가랴 9:9)은 30에 팔림 (스가랴 11:12)은 30이 토기장이의 밭을 사는 데 사용됨 (스가랴 11:13)십자가에서 고난을 당함 (시편 22:16)침묵을 지킴 (이사야 53:7)악한 자들과 함께 죽음 (이사야 53:9..

예수 그리스도 2025.04.03

예수와 새로운 성전

누가복음 23장 45절에는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실 때 성전의 휘장이 한가운데가 찢어졌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사건은 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A.D. 70년 성전 파괴와, 예수님을 모퉁이돌로 한 새로운 성전의 세움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1. 누가복음 23:45 – 성전 휘장이 찢어짐“성소의 휘장이 한가운데가 찢어지더라” (눅 23:45)예루살렘 성전에는 성소와 지성소를 가르는 휘장이 있었습니다.지성소는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곳으로, 대제사장만 1년에 한 번(속죄일)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레 16:2).이 휘장이 찢어진 것은 예수님의 죽음을 통해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이 열렸음을 의미합니다.구약의 제사 체계가 끝나고, 예수님을 통한 새로운 구원의 길이 시작되었음을 상징합니다(히 10:..

예수 그리스도 2025.03.29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는 말씀의 의미

예수님의 말씀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눅 13:24)는 누가복음의 문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1. 문맥적 배경이 말씀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시는 예수님의 여정 중에 나온 말씀입니다(눅 13:22). 예수님이 가르치실 때, 어떤 사람이 "구원받을 사람이 적습니까?"라고 묻자(눅 13:23), 예수님은 직접적인 숫자의 답을 주기보다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고 권면하십니다(눅 13:24).2. 좁은 문과 구원의 의미예수님은 구원의 길이 쉽지 않으며, 많은 사람이 그 문으로 들어가려 하지만 결국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이는 단순한 종교적 소속이나 겉으로 보이는 신앙이 아니라, 진정한 회개와 순종을 통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야 함을 강조하는 것입니다.3.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관..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부활 사건에 대한 구약성경의 예언과 구속사적 의미

예수님의 부활은 구약 성경에서 여러 방식으로 예언되었으며, 구속사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1. 구약에서 예언된 예수님의 부활구약에서는 직접적으로 "예수님이 부활할 것이다"라고 명시하지 않지만, 여러 예언과 모형을 통해 부활을 암시하고 있습니다.(1) 요나의 표적 (요나 1:17, 마 12:39-40)예수님께서는 자신이 죽었다가 사흘 만에 부활할 것을 요나의 사건에 빗대어 말씀하셨습니다.요나 1:17 - “여호와께서 이미 큰 물고기를 예비하사 요나를 삼키게 하셨으므로 요나가 밤낮 사흘 동안 물고기 뱃속에 있으니라.”마태복음 12:40 - “요나가 밤낮 사흘 동안 큰 물고기 뱃속에 있었던 것 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 동안 땅 속에 있으리라.”➡ 요나가..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예수 부활의 역사성

예수의 부활이 역사적 사실임을 뒷받침하는 7가지 근거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1. 예수의 무덤이 비어 있었다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그의 시신은 아리마대 요셉의 무덤에 안치되었습니다(마 27:57-60). 그러나 삼일 후 무덤은 비어 있었고, 이를 반박하는 결정적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초기 유대 지도자들도 예수의 시체를 공개하여 부활 주장을 막으려 했지만, 그러지 못했습니다(마 28:11-15).2. 부활을 목격한 수많은 증인들예수의 부활 후, 그를 본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5:3-8에서 부활하신 예수를 베드로, 열두 제자, 500명이 넘는 무리, 야고보, 그리고 자기 자신이 목격했다고 증언합니다. 이런 집단적인 목격 증언은 전설이나 환상으로 설명하기 어렵..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이사야 53장과 예수의 십자가

이사야 53장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예언한 대표적인 구약 성경 본문으로 해석됩니다. 이 장은 ‘고난받는 종의 노래’(Servant Song) 중 하나로, 고난당하는 한 인물이 죄를 대신 짊어지고 희생당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이사야 53장과 예수의 십자가 죽음의 연관성대속(代贖)의 개념이사야 53:5"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신약의 예수 그리스도 역시 인류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죽었다고 전해집니다(마태복음 20:28, 요한복음 1:29).침묵 속에서 고난을 받음이사야 53:7"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으며, 마치..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성경 외 문헌에 나타난 예수에 대한 언급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는 성경 외에도 고대 문헌에서 언급된 바 있습니다. 아래는 예수에 대해 언급된 고대 문헌 7가지와 그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합니다:타키투스의 『연대기』 (Annals)언급 내용: 로마 역사학자 타키투스는 기원 64년에 발생한 네로의 기독교인 박해를 언급하며 예수를 언급합니다. 그는 예수를 "그리스도"라고 부르며, 예수가 본디오 빌라도 총독 하에 처형당했다고 기록합니다.내용: "그리스도라는 이름을 가진 자는 본디오 빌라도에 의해 처형당했다. 이로 인해, 그들의 악행으로 인해 기독교가 확산되었고, 네로는 그들을 고문하고 처형했다."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 (Antiquities of the Jews)언급 내용: 유대인 역사학자 요세푸스는 예수에 대해 두 번 언급합니다. 첫 번째 언급에서는..

예수 그리스도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