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돈 로빈슨(Haddon W. Robinson)의 책 Biblical Preaching: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Expository Messages는 설교학 분야에서 고전으로 여겨지는 책으로, 강해설교(expository preaching)의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설명한 책입니다. 이 책은 특히 신학생, 목회자, 설교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쓰였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서론: 설교의 본질과 필요성
- 설교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도구입니다.
- 강해설교란 성경 본문이 설교의 주제와 구조를 결정하도록 하는 설교입니다.
- 성경 본문에 충실하면서도, 청중에게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강해설교의 정의
해돈 로빈슨은 강해설교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A sermon in which the main idea, the division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rmon all come from the text, and are applied to the listeners today.”
즉, 본문의 중심 사상(Main Idea) 을 파악하고, 그것이 설교 전체의 구조와 내용, 적용까지 지배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3. 중심 사상(Big Idea)의 중요성
- 설교자는 본문을 연구한 후 반드시 하나의 명확한 중심 사상(Big Idea)을 도출해야 합니다.
- 이 중심 사상은 단일 문장으로 요약 가능해야 하며, 다음의 두 요소로 구성됩니다:
- 주제(Subject) – 설교에서 다루는 것이 무엇인가?
- 술어(Complement) – 그것에 대해 성경은 무엇을 말하는가?
예: “하나님은 고난 가운데 있는 자를 위로하신다.”
4. 강해설교의 준비 과정 (10단계)
해돈 로빈슨은 강해설교 준비를 위한 10단계의 프로세스를 제시합니다:
- 본문을 선택하라.
- 본문을 연구하라 (해석).
- 본문의 중심 사상을 도출하라.
- 중심 사상의 목적을 정의하라.
- 설교 청중을 분석하라.
- 설교의 목적을 세워라.
- 설교의 개요를 구성하라 (구조).
- 서론과 결론을 준비하라.
- 본문 적용을 구체화하라.
- 원고나 메모를 작성하라.
5. 설교 구조의 구성
로빈슨은 설교를 다음과 같은 구조로 제시합니다:
- 서론(Introduction)
– 청중의 주의를 끌고, 중심 사상에 자연스럽게 접근하게 한다. - 본문 전개(Body/Development)
– 중심 사상을 뒷받침하는 2~4개의 주요 요점(Major Points)으로 구성. - 결론(Conclusion)
– 설교를 요약하고, 감정적이고 실제적인 적용으로 마무리.
6. 적용(Application)의 중요성
- 성경적 진리는 단지 설명되기만 해서는 안 되고, 청중의 삶 속에 적용되어야 합니다.
- 효과적인 적용은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해야 하며, 청중의 삶의 자리에서 그들의 필요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7. 전달 (Delivery)
- 해돈 로빈슨은 암기식 설교보다 내면화된 설교를 강조합니다.
- 자연스럽고 설득력 있는 전달을 위해 음성, 몸짓, 눈맞춤 등도 중요하게 다룹니다.
- 설교자는 말씀을 먼저 자기 자신에게 적용한 후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8. 설교자의 영적 자세
- 성령의 인도하심과 의존
- 말씀에 대한 순종과 헌신
- 청중을 향한 사랑과 책임감
총평
이 책은 단순한 이론서가 아니라, 실천 가능한 설교 작성 가이드로 설교자에게 큰 유익을 줍니다. 또한 중심 사상을 강조하고, 적용과 전달까지 세심하게 다룬다는 점에서, 단단하고 살아있는 설교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목회와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윌리엄 스틸(William Still)의 『목사의 길(The Work of the Pastor)』 (0) | 2025.05.06 |
---|---|
브라이언 채플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 (Christ-Centered Preaching: Redeeming the Expository Sermon)』 (1) | 2025.04.08 |
개혁주의 설교자들과 그 특징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