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소라 학파(Masoretes)는 주로 6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활동한 유대인 필사 학자들로, 히브리어 성경(타나크, 구약성경)의 원문을 정확하게 보존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들은 성경 본문의 철자, 발음, 억양, 문법 등을 세밀하게 연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마소라(Masorah)"라고 부릅니다. 특히 마소라 학파는 성경 본문이 오류 없이 후대에 전해지도록 엄격한 필사 규칙을 적용하였습니다.
이 학파의 주요 중심지는 티베리아스(Tiberias), 바빌론(Babylon), 그리고 팔레스타인 지역이었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마소라 학자들로는 벤 아쉘(Ben Asher) 가문과 벤 납탈리(Ben Naphtali) 가문이 있습니다. 그중 벤 아쉘 가문의 필사 전통은 이후 히브리어 성경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마소라 학파의 필사 전통과 구약성경 사본의 정확성
마소라 학파가 성경을 정확하게 보존한 방식은 매우 체계적이었으며, 그들의 노력 덕분에 오늘날까지 구약성경의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그들이 사용한 7가지 대표적인 필사 방법입니다.
- 모든 단어와 글자의 개수를 철저히 계산하였습니다.
마소라 학자들은 성경의 각 책에서 총 단어 수와 글자 수를 계산하여 필사본과 원본을 비교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한 글자라도 추가되거나 빠지면 즉시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창세기부터 신명기까지의 모세오경에서 특정 단어가 몇 번 나오는지를 기록하고 확인하는 방식이었습니다. - 본문의 중간 단어와 중간 글자를 표시하였습니다.
마소라 학자들은 성경 각 책의 정확한 중앙 단어와 중앙 글자를 확인하여 필사본이 올바르게 복사되었는지를 점검하였습니다. 만약 중앙 단어나 글자가 다르면, 필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음을 의미하므로 이를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 철자법과 발음에 대한 주석을 남겼습니다.
성경 히브리어 원문은 본래 모음 없이 자음만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마소라 학파는 정확한 발음을 보존하기 위해 "모음 기호(니쿠드, Niqqud)"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구약성경의 원문이 세대가 지나도 변형되지 않고 동일한 방식으로 읽힐 수 있었습니다. - 비정상적인 문자 형태를 구분하여 표시하였습니다.
특정 단어나 글자가 다른 글자보다 크거나 작게 기록된 경우, 또는 독특한 모양을 가진 경우 이를 마소라 주석에 기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민수기 10:35-36에서는 "נ" 글자가 반전된 형태로 나타나는데, 마소라 학자들은 이러한 특이한 점을 철저히 보존하고 기록하였습니다. - ‘읽는 방법’(Qere)과 ‘쓰는 방법’(Ketiv)을 구분하여 기록하였습니다.
어떤 단어는 전통적으로 다르게 읽히거나 쓰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마소라 학자들은 이를 "케티브(Ketiv, 쓰여진 대로 읽지 않는 단어)"와 "케레(Qere, 전통적으로 읽는 단어)"로 구분하여 본문에 표시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예레미야 31:20에서 "לו"가 "לוֹ"로 읽히는 방식 등이 기록되었습니다. -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테트라그라마톤, YHWH)에 대한 보호 조치를 마련하였습니다.
마소라 학자들은 하나님의 이름 ‘YHWH’가 잘못 발음되거나 남용되지 않도록 주의하였습니다. 따라서 본문에 ‘YHWH’가 등장할 때마다 ‘아도나이(Adonai)’라고 읽도록 지시하는 기호를 남겼습니다. 이는 유대 전통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함부로 발음하지 않기 위한 중요한 규칙이었습니다. - 특정 단어의 드문 사용을 기록하였습니다.
마소라 학자들은 성경에서 희귀하게 등장하는 단어들을 특별히 표시하고, 그 단어들이 어떤 문맥에서 몇 번 사용되었는지 기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한 단어가 구약 전체에서 단 한 번만 나타난다면 이를 ‘하팍스 레고메논’(Hapax Legomenon)으로 분류하여 강조하였습니다.
이러한 철저한 필사 전통 덕분에 마소라 학파가 남긴 대표적인 사본인 "레닌그라드 사본(AD 1008년)"과 "알레포 사본(AD 10세기)"은 오늘날까지도 구약성경의 표준 본문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사해사본과 비교해도 마소라 본문의 정확성이 입증되었으며, 그들이 남긴 마소라 주석(Masoretic Notes)은 성경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마소라 학파의 철저한 노력과 헌신 덕분에, 오늘날 우리는 구약성경을 원문 그대로 신뢰하며 연구할 수 있습니다.
'성경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V(English Standard Version) 성경의 특징 (0) | 2025.04.04 |
---|---|
성경해석에 있어 두 지평의 융합 (0) | 2025.04.02 |
구약성경의 헤렘(멸절의 전쟁) 개념 (0) | 2025.04.02 |
성경에 나타난 "임마누엘"(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 (0) | 2025.04.01 |
희년과 예수의 사역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