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해석학에서 두 지평(fusion of horizons, Horizontverschmelzung) 개념은 독일 철학자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에서 나온 개념으로, 성경 해석에서도 중요한 원리로 적용된다.
1. 두 지평 개념의 기본 이해
가다머는 "이해는 과거와 현재의 만남"이라고 보았다. 즉, 텍스트가 작성된 당시의 지평(historical horizon)과 해석자가 처한 현재의 지평(contemporary horizon)이 상호작용하며 의미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 두 지평이 만나고 융합(fusion)될 때, 진정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2. 성경 해석에서 두 지평
성경을 해석할 때도 성경이 기록된 시대의 지평과 오늘날 우리가 처한 지평을 고려해야 한다.
- 성경의 지평
성경은 특정한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배경 속에서 기록되었다. 당시의 문맥과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려면 역사적, 문법적, 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예) 예수님이 “하나님의 나라”를 말씀하셨을 때, 1세기 유대인들이 가졌던 기대와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 해석자의 지평
해석자는 성경과 다른 시대, 다른 문화, 다른 언어를 배경으로 살아간다. 해석자는 자신의 경험과 이해의 틀을 가지고 성경을 읽게 된다.
예) 현대인은 "하나님의 나라"를 민주주의적 개념이나 영적인 의미로 이해할 가능성이 높다. - 두 지평의 융합
성경의 원래 의미와 해석자의 현재적 상황이 만나 새로운 의미가 형성된다. 이는 단순히 옛 의미를 현대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이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말씀으로 이해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예) “하나님의 나라”를 이해할 때, 예수님 당시의 의미를 살리면서도 현대인이 적용할 수 있도록 재해석하는 것이다.
3. 두 지평 개념의 중요성
- 성경을 단순히 옛 문서로 보지 않고, 오늘날에도 의미가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 성경의 의미를 왜곡하지 않으면서도,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찾도록 돕는다.
- 해석자가 성경을 읽을 때, 자신의 선입견과 편견을 성찰하고, 성경이 말하고자 하는 바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4. 주의할 점
- 해석자가 자신의 시대적 지평만을 강조하면, 성경의 원래 의미를 왜곡할 위험이 있다.
- 반대로 성경이 기록된 당시의 지평만을 강조하면, 성경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를 놓칠 위험이 있다.
- 따라서, 두 지평이 균형 있게 융합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성경 해석에서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두 지평 개념은 성경 해석을 단순한 문자적 이해에서 벗어나, 과거와 현재가 만나고 대화하는 과정으로 보게 해준다. 이를 통해 성경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우리의 삶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성경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JV (King James Version) 성경의 역사와 사본학적 문제 (0) | 2025.04.04 |
---|---|
ESV(English Standard Version) 성경의 특징 (0) | 2025.04.04 |
마소라(Masoretes) 학파 (0) | 2025.04.02 |
구약성경의 헤렘(멸절의 전쟁) 개념 (0) | 2025.04.02 |
성경에 나타난 "임마누엘"(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