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 22

사탄의 유혹 방법

C.S. 루이스의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The Screwtape Letters)는 고위 악마 스크루테이프가 조카 악마 웜우드에게 인간을 타락시키는 방법을 조언하는 편지 형식의 소설입니다. 여기서 사탄(혹은 악마들)이 신자들을 유혹하는 방법을 몇 가지 핵심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미묘한 타협과 점진적인 타락스크루테이프는 인간을 타락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한순간의 극적인 범죄가 아니라 조금씩 타협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작은 거짓말을 용인하게 하고, 점점 더 큰 죄로 유도하는 방식입니다."지옥으로 가는 길은 갑자기 열리는 문이 아니라, 천천히 내리막길을 따라가는 것이다."즉, 극단적인 악이 아니라 서서히,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인간의 마음을 변질시키는 것이 사탄의 주..

신앙생활 2025.03.28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의 영역주권론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는 네덜란드 개혁 신학자로, 그의 사상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영역 주권(Sphere Sovereignty)"입니다. 이 개념은 주로 바빙크와 그의 동시대인인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기독교 세계관에서 매우 중요한 원리로 여겨집니다.1. 영역 주권의 기본 개념영역 주권은 하나님이 모든 삶의 영역에 주권을 가지고 계시지만, 각 영역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고유한 법칙과 역할을 가지고 있다는 사상입니다. 이는 세속적인 삶과 신앙적인 삶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삶이 하나님의 통치 아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각 영역이 서로 침범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기능하도록 설정된 하나님의 질서를 반영합니다.2. 영역의 분류바빙크와 카이..

기독교세계관 2025.03.28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

개혁주의 신학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은 핵심적인 교리로, 하나님이 만물의 주권자이시며 구원의 계획을 영원 전부터 정하셨다는 믿음에 기초합니다. 이에 대한 변호를 몇 가지 논점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성경적 근거개혁주의 신학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은 성경의 명확한 가르침에 기반합니다.✅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하나님은 역사의 주관자이시며 모든 것을 자신의 뜻대로 섭리하십니다.“여호와의 계획은 영원히 서고 그의 생각은 대대에 이르리로다” (시 33:11)“내가 말하였은즉 반드시 이루겠고 계획하였은즉 반드시 행하리라” (사 46:11)✅ 구원의 예정하나님은 창세 전에 자신의 뜻에 따라 누구를 구원할지를 정하셨습니다.“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

기독교교리 2025.03.28

히브리시의 평행법

히브리 시의 평행법은 히브리 시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시적인 구조에서 구절들이 서로 대응하거나 반응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평행법은 히브리 시에서 리듬과 의미를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평행법의 종류는 크게 동의적 평행법, 대조적 평행법, 발전적 평행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시편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1. 동의적 평행법 (Synonymous Parallelism)첫 번째 구절의 내용과 두 번째 구절의 내용이 같은 뜻을 반복하며 표현을 강화합니다.예: 시편 19:1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여기서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는 것과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냄"은 동일한 뜻을 다른 말로 반복하며 강조합니다.2. 대조적 평행법..

구약성경 2025.03.28

요한복음과 고고학적 발견

요한복음에 기록된 내용을 확증해 줄 만한 고고학적 발견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7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1. 베데스다 연못 (요한복음 5:2)요한복음 5장에서 예수님이 병자를 고치신 장소로 등장하는 ‘베데스다 연못’은 오랫동안 실재 여부가 의심받았습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예루살렘 성벽 근처에서 네 개의 기둥으로 둘러싸인 두 개의 수조를 가진 연못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요한복음의 기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2. 실로암 연못 (요한복음 9:7)예수님께서 맹인의 눈을 뜨게 하신 실로암 연못은 2004년, 예루살렘에서 하수도 공사를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연못은 1세기 유대인의 전형적인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요한복음 9장에서 예수님이 맹인을 고치며 "실로암 못에 가서 씻으..

성서고고학 2025.03.28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는 말씀의 의미

예수님의 말씀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눅 13:24)는 누가복음의 문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1. 문맥적 배경이 말씀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시는 예수님의 여정 중에 나온 말씀입니다(눅 13:22). 예수님이 가르치실 때, 어떤 사람이 "구원받을 사람이 적습니까?"라고 묻자(눅 13:23), 예수님은 직접적인 숫자의 답을 주기보다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고 권면하십니다(눅 13:24).2. 좁은 문과 구원의 의미예수님은 구원의 길이 쉽지 않으며, 많은 사람이 그 문으로 들어가려 하지만 결국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이는 단순한 종교적 소속이나 겉으로 보이는 신앙이 아니라, 진정한 회개와 순종을 통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야 함을 강조하는 것입니다.3.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관..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장 칼뱅의 기도에 대한 생각

장 칼뱅(Jean Calvin)은 그의 저서 『기독교 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에서 기도를 매우 중요한 신앙의 실천으로 다루며, 기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깊어지고, 신앙이 성장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기도에 대한 체계적인 가르침을 제공하면서, 특히 제3권 20장 "기도, 즉 신앙의 주요한 실천에 대하여"에서 기도의 본질과 원칙을 설명합니다. 1. 기도의 중요성칼뱅은 기도를 신앙의 가장 중요한 실천이라고 강조합니다. 그는 기도가 단순히 소원을 아뢰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교제를 유지하며, 하나님의 섭리를 경험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말합니다."기도는 하나님과의 교통(交通)이며, 하나님께서 우리를 자기의 보살핌 속에 두시고 계심을 체험하는 행위이다." 즉, ..

신앙생활/기도 2025.03.28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본 회심 사건

서론회심(回心, conversion)은 기독교 신앙에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며, 죄인이 하나님께로 돌이켜 구원을 받는 과정이다. 개혁주의 신학은 성경적 회심을 인간의 자발적 결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건으로 이해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 교리를 따라 회심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1. 회심의 정의회심은 헬라어 '메타노이아(μετάνοια)'에서 유래하며, ‘마음과 삶의 방향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변화가 아니라 근본적인 존재의 변화이며,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 나아가는 과정이다.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회심을 크게 **소극적 측면(죄에서 돌이킴)**과 **적극적 측면(하나님을 향함)**으로 나눈다.2. ..

기독교교리 2025.03.28

말라기서에서 말하는 십일조

말라기에서 십일조는 단순한 헌금의 개념을 넘어 신앙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점검하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합니다. 특히 말라기 3:8-10은 십일조에 대한 가장 유명한 구절 중 하나입니다.1. 십일조는 하나님의 소유를 인정하는 신앙적 행위말라기 3:8에서 하나님은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겠느냐? 그러나 너희는 나의 것을 도둑질하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것을 도둑질하였나이까?' 하는도다. 이는 곧 십일조와 헌물이라"라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하나님은 십일조를 내지 않는 행위를 단순한 태만이 아니라 **'도둑질'**이라고 강하게 표현하십니다. 이는 십일조가 단순한 기부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것을 다시 하나님께 돌려드리는 것이라는 개념을 강조하는 것입니다.2. 십일조는 하나님과의 신뢰 ..

구약성경 2025.03.28

부활 사건에 대한 구약성경의 예언과 구속사적 의미

예수님의 부활은 구약 성경에서 여러 방식으로 예언되었으며, 구속사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1. 구약에서 예언된 예수님의 부활구약에서는 직접적으로 "예수님이 부활할 것이다"라고 명시하지 않지만, 여러 예언과 모형을 통해 부활을 암시하고 있습니다.(1) 요나의 표적 (요나 1:17, 마 12:39-40)예수님께서는 자신이 죽었다가 사흘 만에 부활할 것을 요나의 사건에 빗대어 말씀하셨습니다.요나 1:17 - “여호와께서 이미 큰 물고기를 예비하사 요나를 삼키게 하셨으므로 요나가 밤낮 사흘 동안 물고기 뱃속에 있으니라.”마태복음 12:40 - “요나가 밤낮 사흘 동안 큰 물고기 뱃속에 있었던 것 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 동안 땅 속에 있으리라.”➡ 요나가..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