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2

성경에서 말하는 ‘여호와의 날’의 종말론적 의미

‘여호와의 날’(The Day of the LORD)은 성경에서 중요한 종말론적 개념 중 하나로,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이 결정적으로 나타나는 날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구약과 신약을 관통하며, 주로 세 가지 핵심적인 의미를 가집니다.1. 여호와의 날의 특징① 하나님의 심판의 날여호와의 날은 주로 하나님의 심판이 임하는 날로 묘사됩니다. 구약에서는 하나님께 불순종한 이스라엘과 이방 민족들에게 심판이 임하는 날로 언급됩니다.이사야 13:9"보라 여호와의 날 곧 진노와 맹렬한 분노의 날이 이르러 땅을 황폐하게 하며 그 중에서 죄인을 멸하리니"요엘 2:1-2"여호와의 날이 이르렀으니 이는 가까웠음이라 곧 어둡고 캄캄한 날이요 짙은 구름이 덮인 날이라"이처럼 여호와의 날은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철저한 심판과 관..

성경이해 2025.03.28

강력한 회심을 경험한 신앙의 인물 7인

서론: 회심, 인생을 바꾸는 전환점 기독교 역사 속에서 회심(回心)은 단순한 신념의 변화가 아니라, 인생의 방향 자체를 바꾸는 강력한 경험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죄와 방황의 길에서 하나님을 만난 후 완전히 다른 삶을 살게 되었다. 어떤 이는 회심을 통해 삶의 목적을 새롭게 발견했고, 어떤 이는 사망에서 생명으로 건너가는 기적을 경험했다. 여기서는 근현대 인물들 중에서 강력한 회심을 경험한 7인을 살펴보며, 그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1. 찰스 콜슨 (Charles Colson, 1931-2012) – 권력의 탐욕에서 겸손한 섬김으로찰스 콜슨은 미국 닉슨 대통령의 특별보좌관으로서 워터게이트 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에 가기 전까지 권력의 정점에 있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는 감옥에 가..

C. S. 루이스의 기독교 신앙에 대한 합리적 변증

C. S. 루이스의 "순전한 기독교(Mere Christianity)"는 기독교 신앙을 합리적으로 변증하고 설명하는 책으로, 원래는 BBC에서 방송된 강연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루이스는 기독교를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변호하며, 신앙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주요 변증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도덕법을 통한 신 존재 증명루이스는 인간이 보편적으로 선과 악,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도덕법(Moral Law)"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이 도덕법은 문화와 시대를 초월하여 존재하며, 개인적인 본능 이상의 힘을 갖고 있습니다.도덕법이 존재한다는 것은 단순한 사회적 합의가 아니라, 초월적인 존재(즉, 하나님)가 이를 부여했음을 의미합니다.따라서 우주에는 선과 악을..

기독교변증 2025.03.28

구원의 서정(Ordo Salutis, Order of Salvation)이란?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에서 구원의 서정(Ordo Salutis, Order of Salvation) 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에게 구원을 적용하시는 순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개혁주의에서 제시하는 구원의 서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1. 선택(Election)구원의 시작은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에서 비롯된다. 하나님은 창세 전에 자신의 뜻과 계획에 따라 어떤 사람들을 구원하기로 선택하셨다. 이 선택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 이루어진 것이며, 인간의 행위나 공로와는 전혀 무관하다.성경 근거에베소서 1:4-5“곧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시려고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으니”..

기독교교리 2025.03.28

칼빈주의 5대 교리

칼빈주의 5대 교리는 "TULIP"이라는 약어로 요약되며, 개혁주의 신학에서 중요한 교리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 교리는 도르트 총회(1618-1619년)에서 정리되었으며, 알미니우스주의와 대비되는 개혁주의적 입장을 나타낸다. 각각의 교리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전적 타락(Total Depravity)인간은 아담의 타락 이후 본성적으로 전적으로 타락했으며,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스스로 구원을 얻을 수 없다.인간의 전적 타락은 완전한 부패(utter depravity)가 아니라 전인적 부패(total depravity)로, 즉 인간의 모든 영역(지성, 감정, 의지)이 죄의 영향을 받았다는 의미다.로마서 3:10-12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과 에베소서 2:1 ("너희의 허물과 ..

기독교교리 2025.03.28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하나님의 왕국, 천국)는 구약성경의 흐름과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예수님의 지상 사역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구약과 신약의 연관성, 그리고 예수님의 사역과 연결하여 설명하겠습니다.1. 구약과 하나님 나라의 개념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 나라라는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기보다는 하나님의 왕권과 통치라는 형태로 드러납니다.창조와 하나님의 주권하나님은 천지를 창조하시고 세상을 다스리는 왕이십니다(창 1:1, 시 103:19).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어, 하나님 나라의 대리 통치자로 세워졌습니다(창 1:26-28).이스라엘과 하나님 나라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창 12:1-3)을 통해 하나님은 한 민족(이스라엘)을 선택하시고, 그들을 통해 열방을 축복하시겠다고 하셨습..

성경이해 2025.03.28

신약성경 사본의 우월성

신약성경의 헬라어 사본은 다른 고대 문헌의 사본과 비교할 때 압도적으로 우수한 품질과 신뢰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7가지 주요 근거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1. 사본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음고대 문헌 중에서 신약성경만큼 많은 사본이 남아 있는 문헌은 없습니다.신약성경 헬라어 사본: 약 5,800여 개라틴어 및 기타 언어 번역본까지 포함하면 약 25,000개 이상비교 대상:플라톤(Plato) 작품: 약 7개호메로스(Homer) 일리아스: 약 1,800개카이사르(Julius Caesar) 갈리아 전기: 약 10개타키투스(Tacitus) 연대기: 약 20개사본이 많을수록 원문을 복원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신약성경은 그 점에서 독보적입니다.2. 사본들 간의 시간 간격이 짧음대부분의 고대 문헌 사본들은..

신약성경 2025.03.28

윌리엄 L. 크레이그(William Lane Craig)의 신존재 논증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William Lane Craig)는 기독교 변증가이자 철학자로, 신 존재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논리적 논증을 제시하며 신존재를 옹호하는 대표적인 학자 중 한 명이다. 그의 주된 논증 방식은 다음과 같다.1. 칼람 우주론적 논증(Kalam Cosmological Argument)크레이그가 가장 유명하게 옹호하는 논증이다. 이 논증은 다음과 같은 논리 구조를 가진다.모든 시작을 가진 것은 원인을 가진다.우주는 시작을 가졌다.그러므로 우주는 원인을 가진다.여기서 크레이그는 빅뱅 우주론과 철학적 논증을 결합하여 우주가 유한한 과거를 가졌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 원인은 비물질적이며, 시공간을 초월한 인격적 존재(즉, 신)여야 한다고 결론짓는다.2. 도덕적 논증(Moral Argument)..

기독교변증 2025.03.28

예수 부활의 역사성

예수의 부활이 역사적 사실임을 뒷받침하는 7가지 근거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1. 예수의 무덤이 비어 있었다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그의 시신은 아리마대 요셉의 무덤에 안치되었습니다(마 27:57-60). 그러나 삼일 후 무덤은 비어 있었고, 이를 반박하는 결정적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초기 유대 지도자들도 예수의 시체를 공개하여 부활 주장을 막으려 했지만, 그러지 못했습니다(마 28:11-15).2. 부활을 목격한 수많은 증인들예수의 부활 후, 그를 본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5:3-8에서 부활하신 예수를 베드로, 열두 제자, 500명이 넘는 무리, 야고보, 그리고 자기 자신이 목격했다고 증언합니다. 이런 집단적인 목격 증언은 전설이나 환상으로 설명하기 어렵..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이사야 53장과 예수의 십자가

이사야 53장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예언한 대표적인 구약 성경 본문으로 해석됩니다. 이 장은 ‘고난받는 종의 노래’(Servant Song) 중 하나로, 고난당하는 한 인물이 죄를 대신 짊어지고 희생당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이사야 53장과 예수의 십자가 죽음의 연관성대속(代贖)의 개념이사야 53:5"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신약의 예수 그리스도 역시 인류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죽었다고 전해집니다(마태복음 20:28, 요한복음 1:29).침묵 속에서 고난을 받음이사야 53:7"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으며, 마치..

예수 그리스도 2025.03.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