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6

자크 엘룰의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

자크 엘룰(Jacques Ellul)은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신학자로, 기술과 정치, 그리고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남겼다. 그의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에 대한 견해는 상당히 독특하며, 일반적인 기독교 정치 신학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1. 정치와 권력에 대한 불신엘룰은 정치와 권력을 근본적으로 부패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현대 사회가 기술과 관료주의적 시스템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정치 또한 이러한 구조 속에서 변질되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기독교인이 정치에 적극 참여하면 필연적으로 세속적 권력의 논리에 휘말리게 된다고 보았다.2. 정치적 참여보다는 예언자적 비판엘룰은 기독교인의 역할이 정치에 참여하여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

존 스토트의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

존 스토트(John Stott)는 복음주의 신학자로서 기독교인의 사회적 책임과 정치 참여에 대해 깊이 있는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그리스도인이 세상 속에서 복음을 실천하며 적극적으로 사회와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의 주요 입장은 다음과 같습니다.1. 기독교인의 사회적 책임존 스토트는 기독교 신앙이 단순히 개인적인 구원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회 정의와 윤리적 책임을 포함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사회적 책임 없는 복음은 온전한 복음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그리스도인이 세상의 부조리와 불의에 대해 침묵해서는 안 된다고 보았습니다.2. 정치 참여의 정당성그는 성경적 가치와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기독교인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다만, 특정 정당이나 이념에 맹목적으로 종속되기..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에 대한 견해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와 관련하여 중요한 개념을 제시한 인물들은 많습니다. 아래는 그 중에서 중요한 인물 10명을 소개합니다:아우구스티누스 (Augustine of Hippo)그의 저서 《신국론》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며, 그리스도인의 정치적 의무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세속적인 권위와 신의 왕국을 구분하며, 정치적인 권위는 신의 뜻에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아퀴나스는 《신학대전》에서 자연법과 신법을 논의하며, 인간 사회의 정치적 질서가 신의 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정치 철학은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에 대한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존 칼빈 (John Calvin)칼빈은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주장하면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에 대해 중요한 견해를 제시한 교부입니다. 그의 정치 사상은 특히 그의 저서인 "신국론(De Civitate Dei)"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와 세속 정치의 관계에 대해 매우 신중하고 복잡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하나님의 나라와 세속 국가: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 사회를 두 개의 왕국, 즉 하나님의 나라와 세속의 나라로 구분했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신앙을 중심으로 하나님께 순종하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의미하며, 세속의 나라는 인간의 정치적, 사회적 질서가 이루어지는 세계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두 왕국이 서로 다르지만, 동시에 서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세속 정치의 필요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 사회에서 세속적인 질서..

프랭크 루박의 하나님의 임재 연습

프랭크 루박(Frank L. Lubbock)은 기독교 선교사이자 신학자로, "하나님의 임재 연습"에 대해 강력히 강조한 인물입니다. 그의 생각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순히 신앙적인 언어와 교리가 아니라, 실제적인 삶의 순간들에서 경험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특히, 루박은 하나님의 임재를 개인의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인식하고 경험하는 방법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하나님의 임재 연습은 기독교 신자들이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이 체험하고, 그분의 존재와 활동을 더욱 의식하는 훈련을 의미합니다. 루박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특별히 매 순간 의식적으로 "하나님을 의식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이는 일상적인 활동 중에도 기도와 묵상, 감사와 찬양 등을 통해 하나님과의 끊임없는..

신앙생활 2025.04.01

웨인 그루뎀(Wayne Grudem)의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에 대한 견해

웨인 그루뎀(Wayne Grudem, 1948~)은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조직신학자로, 성경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정치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는 《Politics According to the Bible》(성경에 따른 정치, 2010)에서 기독교인의 정치 참여를 강력하게 주장하며, 성경적 원칙이 정부와 사회 운영의 근본적인 지침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1. 정부의 역할과 성경적 원칙그루뎀은 정부의 존재와 역할이 성경적으로 정당하다고 본다. 그는 로마서 13:1-7과 베드로전서 2:13-14를 인용하며, 정부는 악을 억제하고 선을 장려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기독교인은 정부를 무조건 배척하거나 무관심해서는 안 되며, 정부가 하나님의 정의를 실현하도록 적극..

기독교세계관 2025.03.30

C. S. 에반스의 신앙의 비이론적 정당성 개념

C. Stephen Evans는 신앙의 합리성과 정당성에 대해 논의하면서 신앙의 비이론적 정당성 (non-theoretical justification of faith)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신앙이 단순히 논리적 증명이나 철학적 논변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실존적이고 경험적인 방식으로 정당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주요 내용신앙은 반드시 철학적 논증을 통해 정당화될 필요가 없다전통적인 신 존재 증명(예: 신학적, 형이상학적 논증)은 신앙을 뒷받침할 수 있지만, 신앙의 필수 조건은 아니다.즉, 신앙은 철학적 토대를 요구하지 않고도 합리적일 수 있다.신앙은 삶의 경험과 실존적 요구 속에서 정당화된다인간은 본성적으로 신을 찾고 의미를 구하는 존재이다.사람들이 신앙을 가지는 이유는 단순한 논리적 증명 때..

기독교변증 2025.03.30

"하나님의 나라와 그분의 의를 구하라"는 말씀의 의미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는 말씀은 마태복음 6장 33절에서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마태복음 6:33) 이 말씀의 의미를 깊이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라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다스림이 이루어지는 곳을 의미합니다.단순히 천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 땅에서도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삶을 포함합니다.예수님은 주기도문에서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마태복음 6:10)라고 가르치셨습니다.즉, 우리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뜻과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2. "그의 의"를 구하라하나님의 의(義)는 하나님께서..

신약성경 2025.03.30

바벨탑 사건의 역사적 증거

바벨탑 사건(창세기 11:1-9)이 실제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증거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이 절대적인 증거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7가지 요소를 근거로 삼아 역사적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1. 고대 지구라트(Ziggurat)의 존재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현재의 이라크)에는 바벨탑과 유사한 계단식 피라미드인 ‘지구라트’가 존재합니다. 바벨론뿐만 아니라 수메르, 아카드, 앗시리아 문명에서도 이러한 거대한 건축물들이 발견됩니다. 특히 바벨론의 "에테메낭키(ETEMENANKI)"라는 지구라트는 ‘하늘과 땅의 기초’라는 뜻을 가지며, 바벨탑의 모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2. 언어의 기원과 분산 현상언어학자들은 전 세계 언어들이 몇 개의 공통 조상 언어에서 ..

성서고고학 2025.03.30

세상 마지막에 있을 일에 대한 성경의 예언

예수님께서 말세(末世, the end times)에 대해 예언하신 내용은 신약성경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태복음 24장, 마가복음 13장, 누가복음 21장에서 예수님은 종말의 징조와 마지막 때에 일어날 일들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요한계시록과 사도들의 서신에서도 말세에 대한 예언이 나옵니다. 아래에서 주요 구절을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말세의 징조 (마태복음 24:3-14, 마가복음 13:4-13, 누가복음 21:7-19)제자들이 예수님께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어떤 징조가 있사오리이까?"라고 묻자,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징조들을 말씀하셨습니다.① 거짓 그리스도들의 출현 (마 24:5, 막 13:6, 눅 21:8)"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나는 그..

성경이해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