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6

리처드 마우의 책, 무례한 기독교

리처드 마우의 책 "무례한 기독교" (원제: Uncommon Decency: Christian Civility in an Uncivil World)는 기독교인들이 세상 속에서 어떻게 예의 바르고 존중하는 태도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마우는 이 책에서 현대 사회에서 기독교인들이 겪는 어려움과 세속적이고 무례한 문화 속에서 어떻게 신앙을 지키며, 동시에 다른 사람들을 존중할 수 있는지를 성찰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독교인의 예의와 존중: 마우는 기독교인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며, 예의 바르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독교적 미덕으로 강조합니다. 그는 특히 기독교인들이 사회적, 정치적 논쟁에서 지나치게 공격적이거나 무례한 태도를 피해야 한..

기독교세계관 2025.04.02

레슬리 뉴비긴의 책, 교회란 무엇인가?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의 교회란 무엇인가? (The Household of God)는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깊이 있게 탐구한 책입니다. 뉴비긴은 선교사이자 신학자로서, 서구와 비서구 세계를 넘나들며 교회의 역할과 의미를 고민했습니다. 이 책에서 그는 교회를 세 가지 주요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1. 교회의 세 가지 모델 뉴비긴은 기독교 역사 속에서 교회가 서로 다른 세 가지 방식으로 이해되어 왔다고 주장합니다.가톨릭 교회적 모델: 성례전 중심의 교회 이해입니다. 이 모델에서는 교회가 사도적 전통과 성례를 통해 신자들에게 은혜를 베푸는 공동체로 여겨집니다.개신교적 모델: 말씀 중심의 교회 이해입니다.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전통에서는 교회를 '말씀을 선포하는 공동체'로 강조하며, 성경의..

기독교교리 2025.04.02

폴 워셔의 책, 회심

폴 워셔(Paul Washer)의 책 회심(Conversion) 은 참된 회심의 의미와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책입니다. 워셔는 현대 기독교에서 회심이 종종 왜곡되거나 오해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성경적인 회심의 본질을 명확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책의 주요 내용 회심의 필요성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결신(altar call)이나 감정적인 경험을 회심으로 착각하지만, 참된 회심은 그 이상의 것임을 강조합니다.인간은 타락한 존재이며,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반드시 회심이 필요합니다.회심의 본질회심은 단순한 도덕적 개선이 아니라 새로운 피조물이 되는 것(고후 5:17)입니다.회심은 회개와 믿음을 포함하며, 이는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집니다.참된 회심은 죄를 미워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받아들이는..

기독교교리 2025.04.02

제럴드 싯처의 하나님의 뜻

제럴드 싯처(Gerald Sittser)의 하나님의 뜻(The Will of God as a Way of Life) 은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고민하는 "하나님의 뜻"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책입니다. 흔히 하나님의 뜻을 찾는 것은 미로를 푸는 것처럼 어렵게 느껴지지만, 싯처는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너무 제한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오히려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삶이란 특정한 길을 찾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주요 내용 요약하나님의 뜻은 미리 정해진 청사진이 아니다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뜻을 마치 미리 정해진 "청사진(blueprint)"처럼 생각하고, 작은 선택 하나도 신중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믿지만, 싯처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자유를 주셨으며, 우리가 올바른 원칙을..

신앙생활 2025.04.02

아브라함 카이퍼의 정치 참여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는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가로, 개혁주의 신학과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영역 주권(Sphere Sovereignty)" 개념을 발전시켰다. 그는 그리스도인이 정치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신앙과 삶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을 통해 사회 각 영역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1. 영역 주권(Sphere Sovereignty)과 정치 참여카이퍼는 사회를 여러 독립적인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이 하나님께 직접적인 주권을 부여받았다고 보았다. 즉, 교회, 가정, 학교, 정치, 경제 등은 각각 고유한 역할과 책임이 있으며, 어느 한 영역이 다른 영역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국가는 교회를 지배해서는 안 되고..

마소라(Masoretes) 학파

마소라 학파(Masoretes)는 주로 6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활동한 유대인 필사 학자들로, 히브리어 성경(타나크, 구약성경)의 원문을 정확하게 보존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들은 성경 본문의 철자, 발음, 억양, 문법 등을 세밀하게 연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마소라(Masorah)"라고 부릅니다. 특히 마소라 학파는 성경 본문이 오류 없이 후대에 전해지도록 엄격한 필사 규칙을 적용하였습니다. 이 학파의 주요 중심지는 티베리아스(Tiberias), 바빌론(Babylon), 그리고 팔레스타인 지역이었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마소라 학자들로는 벤 아쉘(Ben Asher) 가문과 벤 납탈리(Ben Naphtali) 가문이 있습니다. 그중 벤 아쉘 가문의 필사 ..

성경이해 2025.04.02

"물과 성령으로 거듭난다"는 말의 의미

"물과 성령으로 거듭난다"라는 표현은 요한복음 3장 5절에서 예수님께서 니고데모와의 대화 중에 하신 말씀에서 비롯되었습니다."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 (요한복음 3:5, 개역개정)이 구절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주요 해석을 살펴보겠습니다. 1. 물과 성령의 의미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거듭나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여기서 "물과 성령으로 난다"는 표현이 중요합니다.(1) "물"은 세례(침례)를 의미한다는 해석일부 학자들은 여기서 "물"을 세례(침례)로 해석합니다.즉, 사람이 물로 세례를 받고 죄를 회개하며, 성령으로 새롭게 변화되는 것이 거듭남이라는 것입니다.세례 요한도 회개의 세..

신약성경 2025.04.02

구약성경의 헤렘(멸절의 전쟁) 개념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나안 족속들뿐 아니라 그들의 짐승들까지 진멸하라고 명령하신 것은 "헤렘(חֵרֶם, ḥērem)"의 개념과 깊이 관련되어 있습니다.1. 헤렘(חֵרֶם)의 의미‘헤렘’은 히브리어로 "완전히 구별하여 바치다", "진멸하다", "파괴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주로 하나님의 심판과 관련되어 사용됩니다. 이는 인간이 임의로 행하는 파괴가 아니라,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특정한 대상이 완전히 하나님께 바쳐지는 것을 뜻합니다.2. 가나안 족속과 헤렘하나님께서 가나안 족속을 헤렘으로 진멸하라고 명령하신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도덕적, 영적 부패가나안 족속들은 심각한 우상숭배, 아동인신제사(몰렉에게 자녀를 바침), 성적 타락(근친상간, 수간 등)을 행하였습니다(레위기 18장, ..

성경이해 2025.04.02

피에르 드 코사드의 자기 포기

피에르 드 코사드(Pierre de Caussade, 1675–1751)는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로, "현재 순간의 성례(Sacrament of the Present Moment)"라는 개념을 통해 신앙적 삶을 설명하였습니다. 그의 가르침의 핵심은 "자기 포기(abandonment)", 즉 매 순간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이고 온전히 신뢰하며 순종하는 것입니다. 자기 포기의 개념코사드는 신앙인이 가져야 할 태도를 “자기 포기”라고 설명합니다. 여기서 자기 포기란 단순한 체념이나 무기력이 아니라, 완전한 신뢰 속에서 자신을 하나님의 손에 맡기는 행위를 의미합니다.현재 순간에 대한 순종그는 과거를 후회하거나 미래를 염려하는 대신, 현재 순간을 하나님의 섭리로 받아들이고 온전히 응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쳤습..

신앙생활 2025.04.02

오 할레스비의 기도

오 할레스비(Ole Hallesby)의 기도(Prayer) 는 기도의 본질, 중요성, 방법 등을 설명하며 독자들에게 기도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실천하도록 권면하는 기독교 고전입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기도의 본질기도는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입니다.기도의 핵심은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연약함과 의존성을 인정하는 것입니다.할레스비는 기도를 "마음의 문을 여는 것"에 비유하며, 하나님께 마음을 열 때 그분이 역사하신다고 강조합니다.2. 기도의 능력과 필요성기도는 신앙생활의 중심이며,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능력이 우리의 삶에 흘러들어옵니다.기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그 뜻에 순종하는 삶을 배웁니다.하나님은 우리의 기도를 통해 역사하시며, 우리가 기도할..

신앙생활/기도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