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0

예수께서 자신을 지칭하여 사용하신 "인자"라는 호칭의 의미

예수님께서 자신을 "인자(人子, Son of Man)"라고 자주 지칭하신 것은 신약성경 전체에서 매우 중요한 신학적, 구속사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호칭은 단순히 "사람의 아들"이라는 의미를 넘어서, 구약의 배경과 예수님의 사역, 정체성, 그리고 종말론적 권위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아래에 성경적인 맥락을 바탕으로 간단히 설명해 드릴게요.1. ‘인자’의 기본적 의미히브리어로는 ben adam (사람의 아들)이고, 헬라어 신약에서는 huios tou anthrōpou (사람의 아들)입니다.문자적으로는 “사람”, “인간”이라는 뜻이며, 인간의 연약함, 필멸성을 강조할 때 종종 쓰입니다 (시편 8:4; 욥기 25:6 등).하지만 예수님의 경우 단순한 인간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그 사용의 깊은..

예수 그리스도 2025.04.26

레온하르트 고펠트(Leonhard Goppelt)의 『모형론』(Typologie)

레온하르트 고펠트(Leonhard Goppelt)의 『모형론』(원제: Typologie)은 신약신학과 구약신학의 관계, 특히 성경 해석에서의 “모형론적 해석”(typological interpretation)을 깊이 있게 다룬 고전적인 작품입니다. 이 책은 원래 독일어로 쓰였으며, 신학적으로는 특히 바르트 이후의 개혁주의와 역사적 해석학을 조화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아래에 이 책의 핵심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모형론』의 핵심 구조와 내용 요약1. 모형론의 정의고펠트는 모형론을 단순한 "유사성 기반의 상징"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는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구속사적 행위가 반복적인 패턴을 통해 전개되며, 이 패턴 속에서 이전 사건이 후속 사건의 "모형"이 된다고 설명합니다.즉, “예표..

성경이해 2025.04.25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354–430)의 『참회록』(Confessiones)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354–430)의 『참회록』(Confessiones)은 기독교 고전 중 하나로, 신앙의 여정, 인간의 내면, 하나님의 은혜와 섭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는 자서전 형식의 작품입니다.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순한 삶의 이야기를 넘어서,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고백의 형태로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래에 각 권의 주요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참회록』 전체 구성 및 핵심 내용제1권: 유년기의 기억과 하나님의 은혜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인간의 비참함을 고백하며 책을 시작합니다.유년기의 기억, 특히 아기였던 자신이 욕망에 따라 울며 요구했던 모습 등을 통해 인간 본성의 타락을 인식합니다.하나님은 언제나 가까이 계셨지..

도날드 맥가브란(Donald A. McGavran)의 『하나님의 선교 전략』(Understanding Church Growth)

도날드 맥가브란(Donald A. McGavran)의 책 『하나님의 선교 전략』(Understanding Church Growth)은 현대 선교학, 특히 교회 성장 운동(Church Growth Movement)의 기초를 다진 핵심 저작 중 하나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전도 기술이나 교회 확장 방법론을 넘어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가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분석하고 전략화하려는 시도입니다. 아래에서 책의 핵심 내용을 주제별로 정리해 드릴게요.1.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정의맥가브란은 선교의 주체가 하나님이시며, 교회는 그 선교에 동참하는 공동체라고 봅니다.하나님은 세상의 구원을 향한 목적을 가지고 계시며, 교회는 이 목적을 위해 존재합니다.‘하나님의 선교 전략’이란..

전도와선교 2025.04.25

래리 크랩(Larry Crabb)의 『결혼 건축가(The Marriage Builder)』

래리 크랩(Larry Crabb)의 『결혼 건축가(The Marriage Builder)』는 성경적 원리를 바탕으로 결혼의 본질과 부부 관계의 회복을 다룬 기독교 심리학서입니다. 이 책은 결혼을 단순한 감정적 결합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깊은 연합의 과정으로 설명합니다.📘 책의 핵심 주제 요약1. 결혼의 목적: 하나됨(Oneness)크랩은 결혼의 핵심 목적을 ‘하나됨’으로 정의합니다. 이는 영적, 정신적, 육체적 차원에서 부부가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단순한 동거나 감정적 친밀감을 넘어서는 깊은 연합을 추구합니다.​2. 인간의 근본적 욕구: 안전감과 중요성인간은 본질적으로 안전감과 중요성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욕구는 배우자를 통해 완전히 충족될 수 없으며, 오직 하나님과..

요아킴 예레미아스의 논문 "여호와의 종(Der Gottesknecht)"

요아킴 예레미아스(Joachim Jeremias)의 논문 「여호와의 종」(Der Gottesknecht)은 이사야서의 ‘여호와의 종의 노래’(특히 이사야 52:13–53:12)를 중심으로, 이 본문이 신약성경과 초기 기독교 신앙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고전적인 신약학 연구입니다. 그는 구약 본문의 의미를 유대교적 배경 안에서 해석하면서도, 초기 기독교의 메시야 이해와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습니다. 아래에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1. 연구 목적과 문제 의식예레미아스는 이사야 53장이 초기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해석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음을 주목합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초기 교회는 어떻게 이사야 53장을 예수에게 적용하게 되었는가?예수 자..

성경이해 2025.04.25

신앙의 용어, "사랑"

성경에서 "사랑"이라는 단어는 단순한 감정이나 호의 이상의 깊고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며,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 중 하나입니다. 신구약 성경 모두에서 다양한 히브리어, 헬라어 단어로 표현되며, 각각의 의미와 문맥이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는 신구약 성경에서 "사랑"이 어떻게 표현되고 이해되는지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1. 구약성경에서의 "사랑" (히브리어)1) 아하브 (אָהַב, ahab / ahavah 아하바: 사랑)가장 일반적인 "사랑"을 의미하는 단어.사람 간의 사랑: 부모와 자식(창 22:2), 남편과 아내(창 24:67), 친구 간의 사랑(삼상 18:1).하나님과 인간 간의 사랑: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사랑하심 (신 7:7-8)인간이 하나님을 사랑해야 함 (신 6:5: “네 마음을 다하고..

신앙의 용어, "복음"

신약성경에서 "복음"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εὐαγγέλιον" (euangelion)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래의 뜻은 "좋은 소식(good news)" 또는 "기쁜 소식"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단어는 당시 헬라 세계에서도 군사적 승리나 황제의 즉위 같은 중요한 소식을 전할 때 사용되던 말이었는데, 신약 성경에서는 특별히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주신 구원의 소식을 가리킵니다.1. 신약에서의 용례복음이라는 단어는 신약 성경 전체에서 약 76회 정도 사용됩니다. 가장 중심적인 구절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예수께서 갈릴리에 오셔서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여 이르시되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시더라.”(마가복음 1:14-15) 이 구절에서 복음..

신앙의 용어, "의"

신약성경에서 "의"라는 단어는 매우 중요한 신학적 개념입니다. 헬라어로는 “디카이오수네” (δικαιοσύνη)로 표현되며, 이는 “의로움, 공의, 올바름, 정당함” 등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복음, 구원, 믿음, 행위, 하나님의 성품 등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신약의 핵심 주제를 형성합니다.1. 의의 일반적 의미헬라어 δικαιοσύνη (dikaiosynē)는 고전 그리스어에서도 "정의", "공정함", "도덕적 올바름"을 뜻합니다.신약에서는 윤리적 의미도 있지만, 보다 관계적 의미와 법정적(법률적) 의미가 강조됩니다. 즉,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에 있는 상태, 하나님이 의롭다 하시는 선언, 또는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기준에 부합하는 상태입니다.2. “의”와 관련된 신약의 핵심 개념들① 하나님의 의 (T..

요아킴 예레미아스(Joachim Jeremias)의 논문 "아바(Abba)"

요아킴 예레미아스(Joachim Jeremias)의 논문 "Abba"는 신약성경 특히 예수님의 기도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고찰로 여겨집니다. 이 논문은 주로 예수께서 하나님을 “아바(abba)”라고 부른 것이 당시 유대교 전통에서 얼마나 급진적인 것이었는지를 역사적·언어학적으로 분석한 것입니다. 다음은 예레미아스의 논문의 주요 내용과 그 의의에 대한 설명입니다:1. “Abba”의 어원과 용례“Abba”는 아람어 단어로, 아버지를 지칭하는 표현입니다.본래는 어린아이가 아버지를 부를 때 사용하는 친근하고 정서적인 표현, 즉 영어로 치면 "Daddy"나 "Papa"에 가까운 말로 이해됩니다.그러나 당시 성인들도 정중하게, 그리고 관계적인 의미를 담아 “Abba”를 사용했습니다. ..

성경이해 2025.04.24
반응형